본문 바로가기
black music

90년대 언더그라운드 힙합: 주류 밖에서 빛났던 명반과 아티스트

by 베이킹수다 2025. 2. 10.

90년대는 힙합이 폭발적으로 성장하며 주류 음악으로 자리 잡은 시대였다.
투팍(2Pac), 노토리어스 B.I.G(The Notorious B.I.G), 제이 지(Jay-Z), 닥터 드레(Dr. Dre) 등의 아티스트들은
메인스트림 힙합을 대표하며 엄청난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다.

그러나 한편에서는 상업성을 벗어나, 힙합의 본질을 지키려는 언더그라운드 아티스트들이 존재했다.
이들은 독창적인 비트, 깊이 있는 가사, 실험적인 음악 스타일로 힙합의 다양성을 확장했다.

이번 글에서는 90년대 언더그라운드 힙합의 특징과 대표적인 아티스트, 명반을 소개하며,
이들이 어떻게 힙합 문화에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보겠다.

1. 90년대 언더그라운드 힙합의 특징

언더그라운드 힙합은 상업적 성공보다 음악성과 메시지를 중시한 음악 스타일을 의미한다.
이 시기의 언더그라운드 힙합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1) 정치적·사회적 메시지를 강조한 리릭

  • 주류 힙합이 갱스터 라이프스타일을 미화하는 데 집중했다면,
    언더그라운드 힙합은 인종차별, 빈곤, 경찰 폭력, 사회 불평등 등의 문제를 다루었다.
  • 대표적으로 모스 데프(Mos Def), 탈리브 콸리(Talib Kweli), 커먼(Common) 등의 아티스트들이 있다.

2) 붐뱁(Boom Bap) 스타일의 비트

  • 언더그라운드 힙합은 샘플링 기반의 붐뱁 스타일 비트를 선호했다.
  • DJ 프리미어(DJ Premier), 피트 락(Pete Rock), 제이 딜라(J Dilla) 등의 프로듀서들이 주도했다.

3) 독립적인 음악 활동

  • 주류 레이블이 아닌 독립 레이블을 통해 음악을 발표하며 자유로운 창작 활동을 했다.
  • 당시 대표적인 언더그라운드 힙합 레이블로는 Rawkus Records, Stones Throw Records 등이 있었다.

이제 90년대 언더그라운드 힙합을 대표하는 아티스트들을 살펴보겠다.

2. 90년대 언더그라운드 힙합을 대표하는 전설적인 아티스트

1) 우탱 클랜 (Wu-Tang Clan) – 언더그라운드에서 메인스트림으로 간 전설

우탱 클랜은 뉴욕을 대표하는 힙합 집단(Collective)으로, 언더그라운드 힙합의 아이콘이었다.

  • 대표 앨범: Enter the Wu-Tang (36 Chambers) (1993)
  • 대표곡: C.R.E.A.M., Protect Ya Neck, Method Man
  • 특징:
    • 무협 영화에서 영감을 받은 독창적인 세계관
    • 9명의 멤버가 각자의 개성을 살려 독립적인 활동도 성공적으로 진행

우탱 클랜은 언더그라운드에서 출발했지만, 이후 메인스트림에서도 엄청난 성공을 거두었다.

2) 모스 데프 & 탈리브 콸리 (Mos Def & Talib Kweli) – 리릭시즘의 정점

모스 데프(현 Yasiin Bey)와 탈리브 콸리는
90년대 후반 정통 힙합의 부활을 꿈꾸며 결성한 '블랙 스타(Black Star)' 듀오다.

  • 대표 앨범: Mos Def & Talib Kweli Are Black Star (1998)
  • 대표곡: Definition, Respiration, Thieves in the Night
  • 특징:
    • 강렬한 사회적 메시지를 담은 가사
    • 재즈와 소울을 샘플링한 감성적인 붐뱁 비트

이들의 음악은 의식 있는 힙합(Conscious Hip-Hop)의 정수를 보여준다.

3) 커먼 (Common) – 힙합의 철학자

커먼은 철학적이고 시적인 가사로 힙합을 예술의 경지로 승화시킨 래퍼다.

  • 대표 앨범: Resurrection (1994), One Day It’ll All Make Sense (1997)
  • 대표곡: I Used to Love H.E.R., Retrospect for Life, The 6th Sense
  • 특징:
    • 힙합 문화를 사랑하는 마음을 담은 깊은 가사
    • 붐뱁 비트와 라이브 악기를 조합한 독창적인 사운드

특히 I Used to Love H.E.R.는 힙합을 여성(H.E.R.)으로 의인화해 표현한 명곡으로 평가받는다.

4) 제이 딜라 (J Dilla) – 전설적인 프로듀서

제이 딜라는 언더그라운드 힙합에서 가장 혁신적인 프로듀서로 평가받는다.

  • 대표 앨범: Slum Village – Fantastic, Vol. 2 (2000)
  • 대표곡: Runnin’ (The Pharcyde), Stakes Is High (De La Soul), Fall in Love (Slum Village)
  • 특징:
    • 독창적인 샘플링 기법과 부드러운 붐뱁 비트
    • 후대 힙합 프로듀서들에게 절대적인 영향을 끼친 인물

제이 딜라는 2006년 사망했지만, 지금도 많은 아티스트들이 그의 비트 스타일을 따라 하고 있다.

3. 90년대 언더그라운드 힙합이 남긴 유산

90년대 언더그라운드 힙합은 단순한 유행이 아니라,
힙합의 본질과 예술성을 지키려는 움직임이었다.

리릭시즘(Lyricism) 부활

  • 주류 힙합이 상업성을 강조하는 동안, 언더그라운드는 깊이 있는 가사와 메시지를 지켰다.

붐뱁 비트의 완성

  • DJ 프리미어, 피트 락, 제이 딜라 등이 샘플링을 활용해 붐뱁 스타일을 정립했다.

독립 레이블과 언더그라운드 문화 확립

  • Rawkus Records, Stones Throw Records 등이 언더그라운드 힙합을 지원하며 대체 음악 시장을 형성했다.

현대 힙합에 미친 영향

  • 켄드릭 라마(Kendrick Lamar), J. 콜(J. Cole), 조이 배드애스(Joey Bada$$) 등
    현재 힙합 아티스트들이 90년대 언더그라운드 스타일을 계승하고 있다.

90년대 언더그라운드 힙합은 힙합의 본질을 지키고,
예술성을 극대화한 음악으로 지금도 많은 팬들에게 사랑받고 있다.
이제 다시 90년대 명반을 들어보며, 진짜 힙합이 무엇인지 느껴보자.